2014-06-11

Swift - 열거형(Enumerations)

열거형(Enumerations)이란 C의 enum과 비슷한 것으로, 특정한 이름을 나열하고 이 이름을 값 대신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스위프트(Swift)의 enum 도 비슷한 용도를 위해 사용한다.

이 열거형이란 일종의 상수를 정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정 타입에 대한 값을 정의하고, 이 타입의 값 중 한가지를 골라서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Swift - 루프(Loop)

루프는 특정 코드를 반복해서 실행하기 위해 제공하는 모든 언어들이 갖추고 있는 기능이다. 스위프트도 당연히 비슷한 기능을 비슷한 이름으로 제공한다.

Swift - 논리 제어문(Conditional Statements)

CPU의 놀고있는 논리회로를 괴롭힐 수 있는게 바로 논리 제어(Conditional Control)다. 이번에는 이 논리(Logical)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자.

Swift - 컬렉션 타입(Collection Types)

컬렉션(Collection) 이라는 것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보관 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대체로 리스트나 배열, 그리고 사전 형식이 이 타입에 해당되는데 스위프트(Swift)에도 Array와 Dictionary 타입이 해당한다. 그 외에 집합과 비슷한 Set 타입도 1.2에 추가되었다.

Swift - 클로져(Closures)

클로져(Closure)는 현대적인 언어에서 상당히 집착하는 개념같다. 없어도 딱히 문제는 없겠지만 여러가지 면에도 기존 함수 방식의 단점을 극복 할 수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어쨌거나 스위프트(Swift)도 클로져 개념을 지원한다. 문법이 함수(Function)와 비슷하기에 클로져를 이해하려면 함수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다.

[관련글] Swift - 함수(Function)

Swift - 함수(Function)

함수(Function) 라는건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알겠지만, 특정 기능을 하는 코드를 특정 방법으로 묶어낸 것이다. 아 무슨 말이 이리 어려워 -_- 그냥 자주 쓸 만한 코드를 특정한 이름으로 분리해 낸 거라고 하는게 쉬우려나.

간단히 함수와 관련된 용어 몇 가지만 짚고 시작한다:
  • 인자(Argument): 함수를 호출 할 때 넘겨주는 변수(상수) 혹은 그 이름
  • 매개변수(Parameter): 함수가 정의될 때 함수가 전달받게 되는 변수(상수) 혹은 그 이름
같은 것 같지만 개념 상 의미가 다름에 주의하자. 함수에 전달하느냐 함수가 받느냐 그 차이다.

Swift - 튜플(Tuple)

개인적으로 스위프트(Swift)에서 가장 편한 기능을 꼽자면 튜플(Tuple) 타입을 꼽고 싶다. 굉장히 단순한 기능임에도 활용에 따라 엄청난 효율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혹시 파이썬의 튜플을 알고 있다면 그것과 매우 닮은 타입이다.

2014-06-10

Swift - 기본 공통사항

Swift의 기본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긴 하지만 기본이라기 보단 그냥 앞으로 쓸 글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공통적인 내용을 별도의 글로 뽑아낸 글이다.

Swift - 변수와 상수 그리고 타입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Variable) 그리고 타입(Type)은 모든 언어에서 가지는 공통적인 요소다.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스위프트의 특징이 드러나는 만큼 적는 김에 관련 정보를 적어본다.

Swift - 옵셔널(Optionals)

옵셔널(Optionals) 이라는 개념은 스위프트(Swift) 만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생각된다. 변수나 상수가 왜 nil을 가질 수 없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nil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이 옵셔널이 해답을 준다.

Swift -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일반적으로 문자(Character)가 2개 이상 모여서 이루어진 사람이 인식하기 위한 글자를 모두 표현하는 String 타입을 의미한다. 그냥 대충 더블쿼터로 묶인 "블라 블라" 이런거다. -_-;; (참고로 이 글은 Swift 4 기준으로 수정되었다)

2014-06-09

2014-06-08

Swift 루프 퍼포먼스 테스트

Swift는 Objective-C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언어라서 그런지 둘 간의 퍼포먼스 벤치마크가 약간씩 나오고 있는 것 같다. 물론 Objective-C가 좀 더 low-level 이라서 퍼포먼스가 잘 나오는건 당연한거라 생각되지만, 어쩌면 Swift 코드를 잘못 짜서 결과가 더 벌어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퍼포먼스 비교 시 루프를 이용해 특정 횟수로 테스트를 하는건 일반적이다. 하지만 루프를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속도도 차이가 벌어질 수 있다. 그래서 확인 할 겸 Swift로 몇 가지 루프 코드를 짜서 실행 속도를 비교해 봤다.

2014-06-07

Xcode 6 플레이그라운드 시작

이번 WWDC 발표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Swift 라는 새로운 언어의 등장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와 함께 플레이그라운드(Playground) 라는 기능의 등장도 개인적으론 굉장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글은 간단하게 플레이그라운드에 대해 겉보기만 해 보려 한다.

Xcode 6 Beta를 설치해보다

나에게 엄청난 똥(...)을 엄청나게 안겨준 Swift를 구경해 볼 겸 Xcode6 베타를 설치해 봤다. 혹시 다운로드나 설치와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신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기에 관련된 사항을 정리해 본다.

2014-05-09

[iOS/OSX] NSNotification, NSNotificationCenter 기초 가이드

말이 약간 어렵지만 '앱 내부에 시그널 패스가 연결되지 않은 곳에 메시지를 어떻게 던질 것인가' 라는 의문이 나온다면 NSNotificationCenter 를 쓰는 것이 답이다. 좀 더 단순히 이야기 하자면, 앱 내에서 아무 데서나 메시지를 던지면 앱 내의 아무데서나 이 메시지를 받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NSNotificationCenter 의 역활이다. 그리고 이 메시지 내용을 감싸는 껍데기가 NSNotification 오브젝트이다.

2014-04-30

[Git] 다른 브랜치의 일부 파일 복사(패치) 하기

Git로 다수의 브랜치를 관리하며 브랜치간 머지(merge) 하기는 굉장히 간단한 일이다. 하지만 의외로 다른 브랜치의 일부 파일만 복사(즉 파일간 머지)해 오는 형태의 작업은 많이 하지 않나보다. 찾아보니 의외로 기존 명령어에 옵션을 하나 추가해서 간단히 할 수 있었다.

2014-04-26

[Objective-C] 블럭 문법 (Blocks Programming)

최근 iOS나 OS X SDK Framework 를 보고 있다면 블럭에 기반한 메소드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 같다. 상황에 따라서 들여쓰기 레벨이 높아지거나 좀 불안한(?) 코드 모양이 나오는 듯 코드 리딩에 안좋은 모양새를 나타낼 때도 있지만, 그래도 여러 면에서 유용한 기능(?)이니 이 참에 메모를 남겨본다.

2014-04-24

[iOS] CoreLocation Framework를 이용한 현재 위치 찾기

iOS에서는 Mapkit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현재 위치를 지동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건 MKMapView 를 사용 할 때의 이야기이다. 맵뷰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 위치를 찾으려면 CoreLocation Framework를 이용해야 한다.

2014-03-13

2014-03-06

[iOS/OSX] CoreData #4 NSFetchedResultsController Filtering

NSFetchedResultsController 는 분명 유용하다. 하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대표적으로 동일한 Entity(Table)에 대해 여러 NSFetchedResultsController 를 만들면 문제가 발생 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컨트롤러를 만들어 하나는 순차적으로, 하나는 특정 검색 결과만을 컨트롤 할 수 있다면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직접 해 보니 데이터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만약 NSFetchedResultsController 를 이용하는 테이블에서 특정 내용 만을 검색해야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2014-03-05

[iOS/OSX] CoreData #3 NSFetchedResultsController

CoreData 에서는 NSFetchedResultsController 라는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UI 툴킷에서만 붙던 컨트롤러라는 이름이 약간 어색하긴 한데 상당히 편리하게 써 먹을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2014-03-04

[iOS/OSX] CoreData #1 기본

CoreData를 명확하게 설명할 말은 찾기 힘든 것 같다. 쉽게 보면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쓰게 해 주는 도구' 로 설명 할 수도 있고 약간 넓게 'ORM 프레임워크'로 설명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모두 CoreData를 완벽하게 설명해 주는 말은 아니다.

어쨌든, CoreData를 사용하면 앱에서 사용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sqlite3 기반)를 SQL 없이 다룰 수 있다. 참고로 좀 귀찮은 부분이 많다.

2014-02-28

[iOS] 그림을 그려서 UIImage로 Export 시키기

이번 포스트는 Core Graphics 의 드로잉 함수를 이용해 그림을 그려서 UIImage 객체화 시키는 것에 관한 내용이다. 드로잉 함수들이야 워낙 많아서 일일이 적기엔 블로그라는 시스템이 맞지 않을 정도고 여기선 그냥 맛보기 함수만 몇 가지 나열한다.

2014-02-27

[iOS] 캘린더 일정 이벤트 등록하기 EventKit 예제

앱에서 캘린더(Calender)나 미리알림(Reminder) 등에 이벤트를 등록 할 때는 EventKit 프레임워크를 이용 할 수 있다. 이 포스트는 캘린더용 일정을 앱에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예제이다.

[Objective-C] 변수의 값이 변하는 것을 추적하는 방법

iOS에선 UIView의 크기가 변하면 자동으로 서브뷰(Subviews)도 그와 함께 리사이즈 되도록 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하지만 subview가 바뀌었을 때 그 상위의 UIView의 크기가 따라 바뀌는 등의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드레벨로 좀 수동으로 구현하는 것을 먼저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위 예제상황에서 좀 더 편한 코딩을 하기 위해 '변수 값의 변화를 추적하는 것'에 대한 글이다. (정확히는 UIView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Objective-C 의 Key-Value Coding 과 관련된 내용이다)

[참고] 이 글은 옛날 글입니다. 새 글은 'KVO (Key-Value Observing) 소개' 글을 참고 바랍니다.

2014-02-26

[iOS/OSX] NSDate로 상대 시간 구하기

NSDate 로 상대적인 시간 (예를 들어 D-day 처럼 지금부터 얼마의 시간이 남았나 등)을 계산해내려면 NSDate 클래스 만으론 불가능하고 NSCalendar를 이용해 계산해야 한다.

[iOS] 문자메세지(SMS) 보내기 MFMessageComposeViewController 예제

아이폰용 앱에서 텍스트메시지(SMS)를 코드레벨에서 그냥(!) 보내기란 사실 불가능하다. 안드로이드 퍼미션만 확보하면 앱에서 마음대로 보내는 것이 iOS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물론 이 불편함 덕분에 아이폰은 보안이라는 다른 이득을 취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iOS에서 이런 SMS를 보내기 위한 수동적인 장치는 제공한다는 점이다. MFMessageComposeViewController 가 바로 이런 역활을 하는 프레임웍이다.

[iOS] 라벨에 링크 넣기 TTTAttributedLabel 예제

Cocoa Touch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는 UILabel 은 UI에 글자를 표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컴포넌트이다. 하지만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이 풍부하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세로 정렬(Vertical Align) 이라던가 문자열에 링크를 넣어 이 링크가 터치되었을 때의 반응을 처리한다던가 등의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번 포스팅은 3rd-Party 확장 클래스인 TTTAttributedLabel에 대한 소개 및 간단한 예제에 관한 것이다. 이 확장은 아래 github 저장소에서 구할 수 있다.

2014-02-25

[iOS] NSJSONSerialization 예제

옛날 옛적(?)에 iOS용 앱을 만들 때 JSON을 파싱하거나 인코딩 하려면 SBJson 이나 JSONKit 같은 외부 코드가 필요했다. 하지만 (제법 오래 전에) Cocoa 프레임워크에서 자체적으로 JSON에 관련된 프레임웍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 이름하여 NSJSONSerialization 클래스이다.

[iOS] UIFont 예제

UIFont는 이름 그대로 폰트를 정의하는 클래스다. 수 많은 글자를 표시하는 UI 클래스에서 폰트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클래스이다.

2013-11-28

[Emacs] visual-regexp, 인터랙티브한 문자열 변경 확장

Emac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문자열 변경 함수(query-replace 등등)는 굉장히 불친절(?)하다. 뭔가 비쥬얼적으로 인터랙티브하게 변화되는 부분을 보여주지 않음을 안타까워 하며 관련 확장을 찾아보다 visual-regexp 라는 확장을 발견하게 되었다.

2013-11-21

[Emacs] 멀티 쉘 버퍼 shell-switcher

Emacs의 특수한 술인 Eshell은 하나의 버퍼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shell-switcher 확장을 이용하면 다수의 Eshell 버퍼를 띄우는 것이 가능하다.

2013-11-13

[Emacs] 자동 페어(?) 확장 Smartparens

Emacs에는 여는 괄호가 입력되었을 때 자동으로 닫는 괄호를 입력해 주는 확장이 많다. 예를 들어 textmate-mode 라던가 autopair, paredit 등등... 이번에는 새롭게 발견한 Smartparens를 간단히 소개한다.

2013-11-11

[iOS] 화면이 꺼지는 것을 막기

굉장히 단순한 포스팅이지만 메모메모~ 특별한 경우 (예를 들어 게임 등)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지 않기가 필요 할 때가 있다. 이럴 때는 다음 한 줄의 코드로 화면 자동 꺼짐을 막을 수 있다.

2013-09-30

[Python] 'in' 오퍼레이터 이야기

파이썬의 내장(built-in) 키워드 중 in 이라는 명령어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 할 수 있다. 이 오퍼레이터의 용도는 이름에서 유추 가능하듯이 넓은(?) 어디에서(?) 무엇인가를 판단 혹은 지칭하는 것이다.

뭔가 말이 이상한데 예제를 통해 살펴보자.

2013-09-27

[Cocoa] 코코아 바인딩 사용 시 데이터가 UI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OS X 용 앱의 UI를 개발 할 때 유용한 기능이 바로 코코아바인딩이다. 이 기능은 코드 레벨의 오브젝트(변수)와 UI 사이를 이어주어서 별 다른 코드 없이도 데이터를 UI에 렌더링 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런데 바인딩을 제대로 했음에도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거나 등의 문제를 겪을 수도 있다.

2013-09-16

수명이 짧은 개발자라는 직업

프로그래밍을 하다 막히면 근처 치킨집 사장에게 상의하라는 농담이 있다. 실제로 그런 경우도 있긴 있겠지만, 정확한 의미는 '개발자는 대부분 일찍 퇴임하고 자영업 등 다른 업종으로 뛰어들거나 개발직종이 아닌 직종으로 옮겨간다' 라는 말이다. 즉 개발자라는 직종의 수명은 짧다.

그리고 주변에서도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어쩔 수 없는 한국의 현실이라고 하기 전에, 왜 이런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고치자는 인식이 없는지가 답답하다.

2013-09-06

[Emacs] 모드라인 꾸미기 main-line

Emacs에서 mode-line 이란 하단의 미니버퍼 위에 정보가 표시되는 라인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편집중인 파일이나 버퍼의 이름과 각종 모드를 비롯한 커서 위치 등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다.

유용한다거나 한건 아니지만 이 모드라인을 원하는 대로 바꾸거나 예쁘게(?) 꾸미는 것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는 main-line이라는 Powerline에서 fork된 확장을 소개한다.

2013-09-05

[Git] 인터렉티브 git add

Git의 특성 상 수정하거나 변경된 파일은 Staging이라는 절차를 거쳐야만 커밋이 가능하다. 그런데 스테이징 할 파일이 여러개이지만 전부가 아닌 경우 하나하나 일일이 입력하는 건 매우 귀찮고 시간 손해가 많은 일이다.

물론 외부 툴을 이용해서 쉽게 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여기서는 쉘(터미널/콘솔) 상에서 외부 도구 없이 Interactive Git Add 기능을 설명한다.

2013-09-03

[*NIX] 총천연색 cat (Colorized cat)

프롬프트가 평범(?)해서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간혹 cat을 이용해 파일 내용을 볼 때 색상 문제로 헷갈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이 cat에 문법 강조(Syntax Highlight) 기능을 추가 할 수 없나 찾아보니 몇 가지 대체방법이 있었다.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cat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 내용을 보기 위한 *NIX(UNIX/Linux 등등) 유틸리티이다. 물론 UNIX류의 특징 답게 그냥 보기 외에도 파이프를 통해 다른 텍스트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용도로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사용법이 그렇다는 이야기다.

2013-08-30

이클립스 컬러 테마

이클립스 기본 색상이 영 마음에 안들어서 좀 찾아보니 이클립스에도 컬러 테마 사이트가 있었다. 이 색상을 적용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해 본다.

참고로 색상 변경은 소스 코드 편집기에만 적용된다. 너무 안타깝다.

2013-08-29

[Emacs] android-mode

이클립스 ADT의 버벅거리는 환경에 참을 수 없어서 Emacs용 Android IDE를 찾아보니 좀 거대한 환경을 요하는 것이 많았다. 그러다 간단히 도움을 줄 수 있는 android-mode 라는 마이너모드를 발견했다.

2013-07-18

2013-07-17

[Emacs] web-mode

요즘 웹이라 하면 HTML 뿐만이 아니라 CSS와 Java Script가 기본이다. 거기다 템플릿 기반의 웹개발도 일반적이다. 그래서 웹개발에 이용되는 하나의 소스 파일에는 최소한 3가지 이상의 문법이 이용된다고 볼 수 있다.

Emacs에서 하나의 버퍼는 하나의 메이저 모드만 이용 할 수 있다는 제약은 이런 웹 개발에 있어서는 좀 문제가 있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html-mode와 js-mode, css-mode 등 필요한 메이저모드는 지원되지만 개별 버퍼에 하나만 쓸 수 있다. 그래서 multi-web-mode나 Mumamo 같은 여러 모드를 섞는 특수 모드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최하단 링크 참고)

이번에 소개하는 web-mode는 멀티 모드가 아닌 하나의 모드에서 다양한 문법의 하이라이트와 편집 기능을 지원하는 통합형(?) 메이저모드이다.

2013-07-12

[Emacs] moe-theme 색상 테마

여기 저기를 싸돌아 다니다 moe-theme 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한번 적용해 봤다. moe-theme는 Emacs용 컬러 테마 패키지로써 어둡거나 밝은 두 가지 색상테마와 시간대별로 색을 다르게 표시해 주는 특이한 기능을 제공한다.

2013-07-09

[Emacs] 괄호/블럭 강조모드 show-paren-mode

show-paren-mode는 괄호나 코드 블럭 등 블럭 형태의 코드를 쉽게 구분하기 위한 마이너모드이다. 아마도 Emacs 24 버전을 기준으로 별도로 require해야 하는 것도 없는 기본적인 모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