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03

2015-02-25

Swift 1.2 - Set 타입

Swift 1.2 에서 'Set' 이라는 새로 추가된 컬렉션 타입이 있다. Set 타입은 중복되지 않는 값들을 보관하기 위한 순서가 없는 배열과 비슷하다. 혹은 수학에서 흔히 말하는 '집합'과도 비슷하다.이 Set 타입에 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려고 한다.

2015-02-24

2015-02-17

Swift - Lazy Stored Properties 좀 더 살펴보기

이미 Swift의 프로퍼티(Properties)에 관한 내용 중 '나중에 생성되는 프로퍼티(Lazy Stoed Properties)' 항목에서 간략하게 설명했었지만, 조금은 더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예제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 lazy 프로퍼티를 약간 더 자세히(?) 정리해 본다.

2015-02-11

Swift 1.2 에서 바뀌는 것들

아직 Xcode 6.2가 정식으로 릴리즈 되지도 않았는데 벌써 Xcode 6.3 베타가 나오는 어이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Xcode 6.3에서는 드디어 Swift가 업그레이드 되어서 1.2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변화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급적이면 모든 내용을 다루고 싶지만 이해가 안되는 것도 많고 별로 몰라도 되는 것도 있어서 중요하다 싶은 내용만 다룬다. 이번 업데이트는 크게 Swift, Xcode 그리고 Objective-C 세 가지 파트로 나뉘어진다.

2015-02-09

Swift 예제 - HEX 색상코드를 UIColor로 변환하기

예제로 보는 Swift 두 번째 포스팅. 이번에는 웹페이지에서 쓰이는 16진수 컬러코드를 UIColor로 변환하는 방법을 쓸 데 없이 길게 풀어써 본다.

참고로 이 글은 플레이그라운드(Playground)에서 작성한다는 가정 하에 쓰여진 글이다.

2015-01-22

NSScanner 기초​

NSScanner는 문자열(String, NSString)에서 값을 스캔하기 위한 클래스이다. 아래 공식 레퍼런스에는 Abstract Superclass 라고 소개되어 있긴 하지만 예상외로 별도로 구현할 필요 없이 그대로 써도 된다.

2015-01-21

[Swift] 딜리게이션 패턴(Delegation Pattern)

스위프트(Swift)는 Objective-C의 많은 기능들을 새롭게 포장해서 제공해 주고 있는데 프로토콜도 그 중 하나이다. 이 프로토콜(Protocols)과 딜리게이션 패턴(Deleagation Pattern)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본다.

2015-01-20

2015-01-16

[Swift] 정체불명의 Dictionary 업데이트 런타임에러

이번 글은 개인적으로 빡쳐서 쓰는 한탄글이다 -_-;

종종 Swift는 아직 준비가 덜되었다고 떠벌리고 다녔는데 이번에는 정체불명의 오류로 인해 다시금 준비가 덜 되었다고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이번 글은 Swift의 Dictionary(사전형)의 아이템을 업데이트 할 때 발생하는 EXC_BAD_ACCESS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5-01-15

2015-01-12

2015-01-09

Swift Memory Management #4 클로져(Closure)의 경우

클로져 이용 시에도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지식이 필요 할 때가 있다. 일반적인 변수 대입 과정에서 리테인이 발생하는 요소 외에도 클로져 내부에서 외부의 변수를 참조 할 때 발생하는 리테인을 깜빡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015-01-08

Swift Memory Management #3 구조체(struct)와 클래스(class)

지금까지 레퍼런스 카운트와 ARC에 관해 설명해 오다가 마치 삼천포에 빠진 것 처럼 구조체와 클래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이 구조체와 클래스의 차이점으로 메모리 관리 상의 차이도 존재하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다만, 이 둘의 차이에 대해 이미 이해하고 있다면 무의미한 글이 될 수도 있으니 그냥 넘어가자.

2015-01-05

Swift Memory Management #1 기초 개념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메모리 관리라는 건 언어에 따라 중요성의 차이가 다르긴 하다. 하지만 왠만해서는 신경써서 작업해야 하는 것이 메모리 관리이다. 얼마나 적거나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지, 또는 어느 시점에서 메모리가 해제되면 효율적인지 등등 신경써야 할 부분이 제법 많다.

이 글은 Swift의 메모리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시리즈 첫 번째로, ARC(Automatic Reference Counting)의 전제가 되는 레퍼런스 카운트(Reference Count) 개념부터 정리한다. 직접적인 Swift 에 대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할 필요는 없을지도 모르겠다.

2015-01-03

Core Foundation Resources

글 제목이 Core Foundation 으로 한정하고 있는 것 같지만, 정작 실체는 iOS(+ Cocoa Touch) 앱 개발과 OS X(+ Cocoa) 개발에 공통적인 글 링크를 정리하고 있는 글이다. :-)

과거 글은 Objective-C 위주로 쓰여져 있는 점에 주의하자.

macOS & Cocoa Development Resources

이 글은 본 블로그에서 macOS용 앱 개발 및 Cocoa 프레임워크 전반에 대한 글 링크를 별도로 정리한 길찾기용 글이다. 관련된 내용이 업데이트 되면 (귀찮지 않으면) 이 글에도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iOS and Cocoa Touch Resources

이 글은 본 블로그에서 iOS 앱 개발 전반 및 Cocoa Touch 프레임워크에 대한 글의 링크를 별도로 정리한 길찾기용 글이다. 관련 글이 업데이트 될 때 마다 이 글에도 해당 항목을 추가할 예정이다.

2014-12-16

[Xcode] 릴리즈 모드로 테스트하기

Xcod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 타겟 하나와 Test타겟이 생성된다. 여기서 프로젝트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기본 타겟에는 Release와 Debug를 위한 세팅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대게 Xcode에서 앱을 실행시키면 디버그(Debug) 모드로 동작한다. 빌드 또한 디버그를 기준으로 빌드된다. 만약 디버그 빌드와 릴리즈 빌드 사이에 코드 내용에 차이가 있다면 릴리즈 모드로 테스트도 해 봐야 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하지만 현재 최신 버전인 Xcode 6 에서는 릴리즈 모드로 실행시키는 바로가기 기능 같은건 없다.

그렇다면 릴리즈 모드로 테스트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2014-12-15

NSView 배경색과 모서리에 관한 트릭(?)

UIView와 NSView는 다르다는 것을 또다시 체험해 보는 시간(-_-). 편의상 이젠 Objective-C 코드 예제는 생략하고 Swift 코드 예제만 남긴다. 어차피 메소드나 프로퍼티 명은 거의 동일하니...

[참고] 이 글은 NSView Cheatsheet 글에 요약해서 정리되어 있다.

2014-12-12

코드로 만드는 NSButton

NSButton을 사용 할 때, 특히 코드로 버튼을 붙이거나 이벤트 핸들링을 할 때 필요한 기초적인 내용을 메모. 편의상 Objective-C 코드는 생략하고 Swift 코드 예제만 남긴다.

2014-12-04

NSView의 좌표계(Coordinate System) 뒤집기

NSView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커스텀한 뷰를 만드는 상황을 가정하자. 이 뷰는 인터페이스 빌더가 아닌 코드로 UI를 구성한다. 그런데 코드로 생성하는 자식뷰의 Y좌표를 0으로 하니 제일 바닥에 자식뷰가 붙었다. 이건 iOS의 UIView 와 비교해서 위 아래가 반대로 뒤집한 상황이다.

[참고] 이 글은 NSView Cheatsheet 글에 요약해서 정리되어 있다.

2014-11-26

Swift/Objective-C 오브젝트 직렬화(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 라는 표현은 대개 OOP언어에서 특정 클래스 오브젝트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파일에서 읽어들일 때, 혹은 네트워크 등으로 전송하거나 받거나 하기 위해 특수하게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Objective-C나 Swift에서는 이 부분에서 인코드(Encode), 디코드(Decode) 용어를 사용한다.

2014-11-20

[Xcode] Swift 프로젝트의 디버그(DEBUG) 플래그

Objective-C 프로젝트에서는 자동으로 정의되는 매크로(Preprocessor Macro)가 있어서 앱이 디버그 빌드인지 파악이 가능하다. 하지만 Swift 프로젝트에서는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으로 처리해야 한다. 이번 글은 이 디버그 플래그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4-11-19

2014-11-11

[Swift/ObjC] 딜레이 이후 실행하기

특정 사유로 특정 코드를 특정 시간 이후에 실행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이유야 어쨌든, 이렇게 특정 시간(딜레이, Delay) 이후에 코드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코드를 알아보자.

2014-11-05

Swift String의 split과 join

Swift의 String은 split이나 join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게 뭐 대단한 사실은 아니지만, Python에서 개인적으로 문자열의 split이나 문자열 배열 join 기능은 굉장히 유용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었기에 Swift에도 있었으면 했다.

(왠지 이번에도 Python 중독자 이야기가 되는 것 같다 -_-)

2014-11-03

Swift의 String을 Python스럽게 만들어보기

Objective-C의 카테고리 기능은 기존 클래스를 확장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Swift에서는 비슷한 기능을 Extension 이라는 기능으로 제공하는데, 이를 잘 활용하면 기본 클래스의 기능을 더욱 확장할 수 있어서 좀 더 편한 코딩이 가능하다.

2014-10-31

NSDate를 Swift스럽게 다뤄보기

기존 Objective-C에 비해 Swift가 가지는 장점 중 하나는 오퍼레이터 오버로딩(Operator Overloading) 이라고 생각한다. 이걸 잘 쓰면 코드가 짧아지면서 가독성이 좋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반대로 가독성이 나빠질 수도 있지만...)

2014-10-27

맥미니를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 하는 도중 문제가 생겼었다

간만에 쓰는 글이 쓸 모 없는 요상한 글이라 찝찝(?)하긴 하지만, 반휴면상태로 보이는 블로그가 살아있다는 표식으로 글을 남겨본다. T^ T. 이 글은 팁이나 가이드가 아니라 일기이다.

현재 사용 중인 맥은 맥북프로 2009LATE, 아이맥 2014, 맥미니 2012LATE 3대이다. 이 머신들은 모두 매버릭스 최신 버전으로 구동 중이었고 요세미티 출시 당일 맥북프로와 아이맥은 아무일 없이 무사히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

다만, 마지막으로 남은 맥미니의 OS X를 요세미티로 업그레이드 하는 도중 문제가 발생했다.

2014-09-16

Swift - Xcode 6.1 Beta 2 변경점

Xcode 6.1 Beta 2가 또 한국 시간 화요일에 릴리즈 되었다. 아마도 한국시간 화요일이 릴리즈 날짜임은 확실한 것 같다. -_-;;;;

어쨌거나 이번에도 스위프트(Swift)와 관련한 변화를 살펴본다. 생각보다 양은 적어서 정리하기엔 편한 것 같다.

2014-09-15

Xcode 6 GM에는 OSX 10.10 SDK가 없다?!

지금까지 Xcode 6 베타에서는 꼬박꼬박 Yosemite(10.10) SDK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정작 정식판 후보버전인 GM에는 이 SDK가 빠져있다. 그래서 스위프트(swift)언어를 이용하는 OSX용 프로젝트를 빌드하려하면 SDK가 없다거나 혹은 Deploy 버전이 맞지 않는다는 오류가 발생한다.

2014-09-12

Swift - Xcode 6.1 Beta 변경점

이제 Xcode 6가 GM이 되면서 더 이상 베타가 아니게 되었다. GM 버전은 최종 릴리즈 후보로써 큰 문제가 없다면 바로 정식릴리즈가 되는 버전이다. 그런데 6 GM 버전에는 Swift로 맥(Cocoa) 앱을 개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6.1 베타를 찾아보게 되었다.

2014-09-11

Xcode 6 GM Seed 등장

이번 애플 행사 발표를 위해(?) iOS 8 GM과 Xcode 6 GM Seed가 나왔다.

2014-09-04

Swift - Xcode 6 Beta 7 변경점

늘상 한국시간 기준 화요일에 릴리즈 되길래 이번주는 넘어가나보다 했지만 그 다음날에 베타7이 나와버렸다. 이번에는 변화가 좀 있길래 스위프트(Swift) 언어 위주로 변경된 점을 정리해본다.

2014-09-02

Swift - 옵셔널(Optional) 엑세스

스위프트(Swift)의 옵셔널(Optional)은 '값이 없음(No Value)' 이라는 것을 심어주기 위한 기능이다. 단순하게 사용하려 한다면 그저 nil 초기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용도로써 쓸 수 있겠지만, 액세스라던가 옵셔널 체인(Optional Chain) 등등을 아무런 지식 없이 쓰다보면 컴파일 에러나 런타임 에러를 종종 보게 될 것 같다. 그래서 약간의 시험과 더불어 개념을 조금 더 파고 들어가 보고자 한다.

2014-08-27

[Python] 클래스 오브젝트 생성 제어

좀 특별한 경우겠지만, 특정 클래스의 오브젝트를 생성 할 때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생성되지 않고 None이 되게 하고 싶은 경우라고 가정하자. 이렇게 하면 클래스 오브젝트 생성을 이용해 밸리데이션(Validation)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파이썬의 클래스 생성자격인 __init__ 은 값을 리턴 할 수가 없다. (정확히는 None만 리턴이 가능하다) 사실 대부분의 OOP에서 클래스의 생성자는 리턴을 가질 수 없다. Objective-C 같이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2014-08-22

Swift의 기본 프로토콜 세 가지: Equatable, Comparable, Printable

애플의 공식 스위프트 가이드(?)에 언급된 세 가지 프로토콜로 Equatable, Comparable, Printable이 있다. '-able' 이라는 이름이 붙은 걸로 보면 특정 동작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프로토콜로 추측이 가능하다. 이 프로토콜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본다.

2014-08-21

OS X Yosemite DP 에서 Homebrew 실행문제 해결하기

현재 애플에선 한창 개발중인 OS X Yosemite Developer Preview 에서 내부 프레임워크들이 버전업이 됨이 따라 이에 의존성이 있는 소프트웨어들이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 중에는 Homebrew도 끼어 있다.

2014-08-20

Xcode 6 Beta 6 에서 발생한 링크에러 및 해결

Xcode 6 Beta 6를 사용하면서 약간의 변경점 때문에 Swift 코드를 일부 수정하고 빌드를 했더니 링크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이번 베타에서도 뭔가 깊숙한 곳에서 바뀐게 있나 하고 답답해 했었다. 다행히도 해결책이 있어서 글로 정리해 본다.

2014-08-19

Swift - 값(Value)과 레퍼런스(Reference)

애플의 공식 스위프트(Swift) 블로그에서 재미있는 내용이 올라와서 이를 설명해보는 글을 작성해본다. 참고로 글 내용은 값과 레퍼런스의 차이에 대한 것인데, 이 덕분에 클래스(class)와 구조체(struct)의 차이점을 한 가지 더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 중 값과 레퍼런스에 대한 부분만 정리한다.

2014-08-13

Xcode 6 유닛테스트(Unit Test) 기초가이드

앞서 Swift 프로젝트에서 유닛 테스트 하기에 관한 글을 썼었는데 이번 글은 Xcode 6 에서 제공하는 유닛 테스트(Unit Test)의 기본 가이드이다. 코드는 스위프트를 기준으로 하겠지만 Objective-C 에서도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해하기에 어려울 것은 없을 것이다.

Swift 프로젝트의 유닛테스트(Unit Test)

Xcode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옵션을 해제하지 않으면) Test를 위한 타겟과 프레임워크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 테스트 기능은 테스트 자동화나 TDD(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을 위해 사용되는 유용한 기능이다.

다만 스위프트(Swift) 기반의 프로젝트에서는 만들어 놓은 모듈을 테스트 할때 사소한 애로사항(?)이 있어서 이를 정리해 본다.

혹시나 Xcode 6 유닛테스트 가이드를 찾는다면 Xcode 6 유닛테스트 가이드 글을 참고하자.

2014-08-11

Objective-C 프로젝트에서 Swift 코드 사용하기

앞서 Swift 프로젝트에서 Objective-C 코드를 사용하기에 관한 글을 적으면서 '과연 스위프트 모듈을 Objective-C 프로젝트에서 쓸 일이 있을까' 라고 적긴 했었는데, 실상은 왠지 쓸 수도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관련 내용을 글로 정리해본다.

2014-08-05

Swift - Xcode 6 Beta 5 변경점​

이번에도 한국시간기준 화요일에 Xcode의 새로운 베타가 올라왔다. 애플 이 녀석들 미국기준 월요일에 릴리즈 한다는 건데 부러운 녀석들... ;ㅁ;

어쨌건 이번에도 많이 바뀌었다. 물론 이번에도 Swift와 관련된 부분만 간추려본다.

2014-07-24

Swift - Collection 타입의 도구들: map, filter, reduce, zip

기초적이지만 알아두면 나쁠 건 없는 스위프트(Swift)의 Collection Type (주로 Array) 활용 메소드 map, filter 그리고 reduce를 간단히 복습해보는 글. 추가로 zip에 관해서도 정리해 보자.

이미 애플의 스위프트 공식 책(?)에도 간단한 예제가 나와있기 때문에 이해했다면 굳이 볼 필요는 없는 내용이다.

2014-07-23

Swift - 액세스 컨트롤(Access Control)

액세스 컨트롤(Access Control), 대충 직역하여 '접근 제어자'라고 표현하는데 이해가 바로 가는 표현은 아니다. 이 용어는 클래스의 설계와 관련된 부분으로, 클래스의 프로퍼티나 메소드의 접근에 제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스위프트(Swift)는 Xcode 6 Beta 4 부터 이 엑세스 컨트롤 키워드가 추가되었다. 간단히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