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트래픽 때문에 말이 많다. 트래픽 때문에 3G망에 과부화가 걸린다는 통신사측 주장. 특히 SKT가 심하게 딴지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통신사에 돈을 지불하고 통신망을 사용하는데 과부화 때문에 카카오톡에 딴지를 걸고있는 통신사측을 곱게 볼 수가 없다.
엔지니어 입장에서 기술적(?)으로 이 사태(?)에 대한 판단을 한번 휘갈겨본다.
통신사에 따른 차이는 왜 있는가
KT는 아이폰을 일찍 들여와서 안드로이드 보다 아이폰의 데이터 사용량이 월등히 높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SKT의 경우 안드로이드를 우선적으로 보급한터라 안드로이드의 데이터 사용량이 월등히 높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카카오톡에 대한 반감은 SKT가 더 높아 보인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현재의 카카오톡 트래픽 문제는 안드로이드와 관련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기사에 따른 정보
일단 SKT 측의 주장은 카카오톡 서버가 다운되었다 다시 살아나면서 그 동안 쌓인 데이터를 한번에 보내려고 시도하면서 망부하가 심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말 자체는 틀린건 아니다. 문자메시지의 데이터량은 극히 미미하겠지만 몰려서 전송된다면 충분히 많은 양의 데이터임은 틀림없다.
전송을 접수 받는 서버와 전송을 하는 서버가 별도로 있다고 생각한다면, 전송서버가 다운되었다면 접수서버에 메시지 요청이 잔뜩 몰려있을 것이고, 전송서버가 살아난다면 접수서버에 쌓여있는 데이터를 한번에 처리하려 하면서 충분히 망 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은 된다.
하지만 이건 추측에 의한 것일 뿐 진실인지 아닌지는 카카오톡 쪽에서만 알겠지.
무엇보다 SKT측의 저 주장은 항상 그런게 아니라 일시적으로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다. 다운이 하루에 수 차례씩 되는 것도 아니고 (만약 하루에 수 차례 다운된다면 서버상의 큰 결함이 있는 거지. 개발자 존내 닦일테고 -_-) 어쩌다 한번 다운될텐데 그걸 문제 삼기에는 좀 과한 듯 하다.
OS에 따른 차이
전통적으로 스마트폰으로 최적화를 잘 시킨 iOS(구 iPhoneOS)와 아직 한창 개발중인 (개인적으로는 아직 미완성의) 안드로이드는 분명 차이가 있다.
iOS의 경우 OS와 SDK 차원에서 앱에 굉장한 제약을 가하고 있다. 위젯은 뱃지만 지원, 백그라운드 서비스는 일부 API가 허용, 멀티테스킹이 제한적인 상황이라는 점만 봐도 얼마나 큰 제약을 주는지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백그라운드 서비스용 앱을 개발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이는 애플이 스마트폰OS, 현재의 iOS에 이르기까지의 노하우 혹은 UX철학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일부러 이렇게 만들었다는 것, 그리고 그 이유는 성능 및 배터리 수명 보장과 전화 기능의 원활한 사용에 큰 중점을 둔다고 보고 있다.
반면 안드로이드는 iOS에 비해 굉장히 자유로운 편이다. 앱 영역을 벗어나는 것 까지 써드파티 개발사에서 마음껏 개발할 수도 있다. 완벽에 가까운 멀티태스킹과 위젯, 런처 및 UI가 없는 서비스 까지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안드로이드가 능력이 많은 것 같지만 양날의 칼이다.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사용자 모르게 배터리 소모도 심해지고, 앱 사용 시 혹은 필수 중요 기능(전화 등)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서 소개는 여기까지만 하고...
iOS는 이런 태생적(설계적) 한계로 인해 메시징 서비스 개발에 제한이 많다. 항상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상황을 만들 수 없는 만큼 애플 푸쉬 서비스로 메시지를 전송받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결국 카카오톡 앱을 띄워야 정상적으로 수발신이 가능하다.
반면, 안드로이드는 다르다. 완벽한 멀티태스킹 덕분에 백그라운드 상에서 앱이 항상 서버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iOS에 비해 굉장히 자유롭고 편리한 환경을 마음껏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사용자나 스마트폰 입장에서 무조건 좋으냐 하는 점은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다.
iOS는 제한적인 애플의 푸쉬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메시지가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것 뿐이다. 애플의 푸쉬는 다이얼로그 하나 띄울 정도의 기능 밖에 없는 것이다. 기능적으로 미약한 부분이다. 대신, 앱을 띄우지 않는 다면 트래픽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안드로이드의 구글 푸쉬(C2DM)은 2.2대에 들어서서야 지원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를 배려한다면 이용할 수 없는 기능이다. (더구나 상황에 따라 매우 느리게 전송된다) 그래서 카카오톡 앱이 직접 자체 개발 및 서비스하는 푸쉬서버에 항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물론 앱을 사용하지 않는 순간에도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직접 서버와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판단할 수 있는 건, 안드로이드용 카카오톡은 항상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 유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폰에 비해 데이터 전송량이 더 많을 수 밖에 없다. 물론 연결유지를 위한 패킷은 극미량일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
위 정보를 이용한 개인적인 판단이긴 하지만, SKT 측의 주장은 일리가 좀 부족하다고 본다. 이미 언급했다 싶이 서버 다운 후 복귀로 인한 일시적인 망부하는 말 그대로 일시적이라는 점이다. (한 순간에 정말 아주 많은 데이터가 쌓이지 않는 이상... 1000만명의 유저가 일시적으로 쏟아낸다면 말이지)
다만 푸쉬서버 연동을 통한 데이터 전송량의 차이는 분명 있을 것이고, 극미량이긴 하지만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그 만큼 트래픽에 영향을 줄 소지는 어느 정도 있다.
이 정도에 망부하가 심해진다는 주장은 곱게 넘어가기가 힘들다. 그러니 통신사 수익 감소가 주원인 거라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다만, 안드로이드용 카카오톡이 정말 서버 연결유지를 위해 지속으로 트래픽을 과도하게 유발시키고 있다면 할 말은 없겠지만 말이다.
Popular Posts
-
Q. 1.3과 1.12 중 어느 버전이 더 최신 버전인가요? A. 1.12가 더 최신버전입니다. 위의 같은 질문류를 커뮤니티에서 본 적이 있는데 놀랍게도 1.3을 1.12보다 더 높은 버전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버...
-
이번 글은 굉장히 유명한 수학 함수 3가지를 적어보는 글입니다. 그리고 오랜만에 구어체가 아닌 존대말(?)로 쓰는 글이기도 하겠네요. 이번에 언급하는 함수 세 가지, 즉 ceil(), floor(), round() 함수는 C 언어 시절부터 쓰이...
-
sigsegv 검색을 통해 유입된 내역이 하나 보여서 잠깐 설명.
-
최신의 Emacs 22~23 에서는 한글 폰트 설정에 따른 불편함은 많이 사라진 편이지만, 역시 마음에 드는 폰트 설정은 힘든 편이었다. 특히 영문과 한글 폰트를 별도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 크기를 맞추는 등의 삽질이 필요한 편이다.
-
Vim이 강력한 편집기로써 군림하게 된 건 편한 키맵, 정규표현식, 그리고 이 매크로 레코딩 기능이 있기 때문이라고 감히 주장하고 싶다. 레코딩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를 그대로 녹화해서 매크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에 대해 간단히...
-
세금이 이게 맞는 건가? (Grok 생성 이미지) 갑자기 절세계좌에서 미국 ETF의 분배금이 이중 과세 된다는 어이없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여기서 절세계좌는 개인연금이나 퇴진연금 같은 연금계좌와 ISA계좌가 해당되는 것 같은데, 만약 사실이라면 정...
-
또 눈을 처맞은 투싼 눈이 가볍게 날리는 걸 보고 운전에 지장을 주겠다는 생각은 별로 들지 않았다. 떨어지면 바로 녹기도 하고, 좀 쌓이더라도 밤 사이 제설차의 활약으로 도로는 잘 치워져 있기도 하니 말이다. 그래서 눈 오는 날 운전을 비 오는 날 운...
-
Git로 다수의 브랜치를 관리하며 브랜치간 머지(merge) 하기는 굉장히 간단한 일이다. 하지만 의외로 다른 브랜치의 일부 파일만 복사(즉 파일간 머지)해 오는 형태의 작업은 많이 하지 않나보다. 찾아보니 의외로 기존 명령어에 옵션을 하나 추가해서 ...
-
가까운 옛날(?) 이탈리아 여행을 다녀오고 나서 생긴 이상한 증상(?)이 있다. 바로 이탈리아식 화덕피자가 종종 땡기는 증상이다. 그래서 종종 집 주변 화덕피자 가게를 찾아보고 시켜 먹어보곤 했다. 불행히도 대부분은 꽝이었다. 어떤 건 화덕에 구운 것...
-
후비적 후비적 (Grok 생성 이미지) 트럼프의 무역 전쟁 개시 로 미장이 열리고 신음 소리가 여기저기 들리던 와중에 갑자기 멕시코 대통령과 트럼프와의 대화가 잘 끝났다는 소식이 나왔다. 시장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다. 이어 대 멕시코 관세 행정명령이 ...
Tags
Blog Archive
-
▼
2011
(273)
-
▼
4월
(64)
- [iOS] Status Bar 스타일 바꾸기 및 숨기기
- Xcode 4.1 Developer Preview 4 공개
- [Objective-C] 가변 인자(Variable Arguments) 구현
- [Emacs] 괄호 자동 입력 마이너모드 textmate-mode
- [Python] 'is' 커맨드
- Map App Store: The Unarchiver
- [Emacs] face-list.el
- [Humor] 진짜 프로그래머는 그림판으로 코딩한다
- 애플이 위치저장을 하도록 한 이유?
- [Humor] Emacs 유저의 Vim 유저 사이의 소소한 전쟁(?)
- Emacs vs Vim
- [Humor] Real Programmers use ...
- [Emacs] 한글 폰트(글꼴) 설정
- [Vim] MacVim 한글 입력 문제
- [Emacs] 외부에서 파일이 수정되었을 때 자동으로 읽어들이기
- [Emacs] Emacs for iPhone
- [iOS] SBJson - JSON Framework
- [Emacs] 윈도우 관련 커맨드
- [Emacs] Meta키 사망사건
- [Emacs] 반복 입력을 위한 모드, dot-mode.el
- [Emacs] Syntax Highlighting
- iOS 4.3.2 도 벌써 뚫렸다...
- iTunes 10.2.2
- [Elisp] List Enumeration
- [Emacs & Vim] Color Theme - Solarized
- [Emacs] anything-for-files 의 문제
- [Humor] vim or emacs?
- [Vim] Script: Open URL
- [Emacs] Cocoa Emacs 에서 Pymacs 기동이 안되는 경우
- Mac OS X 업데이트
- Emasc 를 시작하려는 이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것
- Symbol Naming
- [Vim] 자동 편집을 위한 길, Recording
- [iOS] NSArray Enumeration
- Emacs 용으로 만든 3D FPS 게임
- [Emacs] Show Line Numbers
- [Mac OS X] Mactracker
- [Vim] Plugin: Align
- [Vim] Plugin: The NERD Commenter
- [Vim] 검색이나 명령어 입력 시 붙여넣기
- [Vim] Plugin: surround.vim
- [Mac OS X] 바람 입력기 설정창이 뜨지 않을 때
- [Vim] Plugin: Conque Shell
- [Vim] 자동완성 플러그인 AutoComplPop
- [Vim] Vim에서 ESC를 눌렀을 때 영문 상태로 전환하기
- [iOS] Objective-C Singletone Pattern
- [Emacs] emacs-evernote-mode
- [Emacs] Edit by root privilege
- [Emacs] shell/eshell/terminal-mode?
- [Emacs] 설정파일(.emacs) 공유
- [Vim] Vim 에서 MarkDown 사용하기
- [iOS] UINavigationController의 push/pop 애니메이션 변경하기
- Dropbox를 경험해보세요
- [iOS] UIView's bounds on UINavigationControl
- 맥용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해
- 통신사와 스마트폰 OS 그리고 카카오톡
- [Python] 가장 단순한 싱글톤 패턴(Singletone Pattern)
- [Python] ASCII Conversion
- [Emacs] emacs-w3m
- [Python] isdigit()의 함정
- [Emacs] 번역 기능을 추가해보자
- [Vim] VimOrganizer: org-mode for Vim
- 만우절 트위터 타임라인 속 풍경 한가지
- [Emacs] Anything VS IDO
-
▼
4월
(64)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