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cs는 Ctrl키와 Meta키를 조합해서 커맨드를 바인드, 즉 단축키를 Ctrl이나 Meta키를 조합해서 만들어 쓴다.
여기서 Meta키는 현재는 ALT키로 이해하면 된다. Mac OS X에서는 Command나 Option키 둘 중 하나를 Meta로 사용할 수 있다.
Ctrl키와 Meta키는 단축키 표현 시 보통 C, M 등으로 줄여서 표시한다. 예를 들어
C-v
: Ctrl-VM-x
: Alt-XC-h t
: Ctrl-h 이후 Ctrl키에서 손을 떼고 t를 누른다는 의미C-x C-f
: Ctrl-X 이후 Ctrl-f 키를 누른다는 의미
공백 등으로 키가 여러 그룹으로 나눠져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윈도우 등에서 쓰던 여타 편집기에선 상상할 수 없는 스타일이라 좀 곤란할지도 모르겠지만...;; 단축키 조합으로 여러번 입력하는 건 각각의 단축키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2. 필수적으로 알아둬야할 단축키
C-h t
: Tutorial 열기. 반드시 읽어보길 추천...C-g
: Quit Command. Emacs를 종료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현재 입력중인 커맨드를 취소한다는 의미. 단축키를 입력하는 도중 잘못 입력했을 때 눌러주면 취소가 된다.
3. Frame, Window and Buffer
- Frame: 프레임이란 Emacs 창 자체를 의미한다. 한 프레임을 나눠서 여러 윈도우로 만들 수 있다. 프레임 내에는 최소한 하나의 윈도우가 있다는 의미.
- Window: 윈도우는 프레임 내부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영역. 하나의 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버퍼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버퍼 중 하나가 표시된다.
- Buffer: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의 내용, 혹은 그 외 표시되는 내용을 의미한다. 그냥 파일이라고 생각하는게 속 편할 수도 있다.
4. Emacs Commands
Emacs는 Lisp이란 언어로 구성되어 있고 모든 기능은 함수(Function)를 호출해서 구현한다. 즉 Emacs Commands는 이 함수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각각의 단축키는 커맨드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C-x C-f
는 find-file이라는 함수에 연결되어 있어서 해당 단축키가 눌리면 이 커맨드가 호출된다는 의미다. 이 경우 C-x C-f
는 find-file
에 바인드 되어 있다고 표현한다.커맨드는
M-x
를 누른 후 수동으로 입력해서 호출할 수도 있다. 실제로 M-x find-file
를 입력하면 C-x C-f
를 누른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커맨드의 종류는 워낙 많고 방대하기에 열거하기 곤란하다 -ㅁ-;
5. Emacs Start-up files
시작 스크립트 파일은 Emacs의 설정파일이다. 하지만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Emacs를 사용자 마음대로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이라고 보는 편이 맞다.
보통은 .emacs 혹은 Dot Emacs 라고 표현한다.
시작 스크립트 파일은
~/.emacs
혹은 ~/.emacs.el
혹은 ~/.emacs.d/init.el
중 하나를 골라서 쓰면 된다.PS.
~
는 유닉스 등에서 홈디렉토리(HOME)를 표현하는 문자이다. MS Windows 에서는 홈디렉토리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한은 좀 설명하기 곤란하다 -ㅁ-;; 참고) 이 내용은 아래 URL의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쓰여졌다. 단, 주제 만을 참고했으며 내용은 좀 다를 수 있다.
http://www.eatingair.com/post/4463441219/the-bare-essential-guide-to-emacs
0 comments: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