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OS X 의 터미널(Terminal.app)에서 Emacs를 띄우면 기본적으로 Option(Meta)키가 Emacs의 키로 먹히지 않는다. 이상한 특수 문자가 찍힐 뿐...
이 경우 따로 Emacs의 설정이 필요할 줄 알았는데 Terminal.app 자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하단에 보이는 'option을 메타 키로 사용' 옵션에 체크하면 끝이다.
커맨드키를 메타키로 쓰지 못 하는 건 좀 안타깝지만 익숙해지기 나름이다. ;-)
Popular Posts
-
이번 글은 굉장히 유명한 수학 함수 3가지를 적어보는 글입니다. 그리고 오랜만에 구어체가 아닌 존대말(?)로 쓰는 글이기도 하겠네요. 이번에 언급하는 함수 세 가지, 즉 ceil(), floor(), round() 함수는 C 언어 시절부터 쓰이...
-
Q. 1.3과 1.12 중 어느 버전이 더 최신 버전인가요? A. 1.12가 더 최신버전입니다. 위의 같은 질문류를 커뮤니티에서 본 적이 있는데 놀랍게도 1.3을 1.12보다 더 높은 버전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버...
-
sigsegv 검색을 통해 유입된 내역이 하나 보여서 잠깐 설명.
-
Vim이 강력한 편집기로써 군림하게 된 건 편한 키맵, 정규표현식, 그리고 이 매크로 레코딩 기능이 있기 때문이라고 감히 주장하고 싶다. 레코딩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를 그대로 녹화해서 매크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에 대해 간단히...
-
최신의 Emacs 22~23 에서는 한글 폰트 설정에 따른 불편함은 많이 사라진 편이지만, 역시 마음에 드는 폰트 설정은 힘든 편이었다. 특히 영문과 한글 폰트를 별도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 크기를 맞추는 등의 삽질이 필요한 편이다.
-
내 나이대도 이제는 젊다고 하기에는 힘든(?)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세월의 흐름이 너무 빨라서 아쉽고 벅차고 숨차기는 하지만, 이럴 때 일 수록 추억을 떠올려 보면 나름 재미있는 세월을 보냈구나 생각이 든다. 이참에 옛날 옛적에 쓰던 구식 컴퓨터...
-
골프라는 스포츠는 공을 얼마나 적게 쳐서 홀에 집어넣는지를 겨루는 스포츠다. 타수를 줄여서 최대한 적게 친 순으로 순위가 메겨진다. VimGolf는 Vim으로 골프치는 것이 아니라 -_- 골프의 목적과 비슷하게 Vim으로 특정한 텍스트 프로세싱을 하는...
-
node.js 는 비동기(asynchronous) 모델의 코딩을 하기 쉽도록 디자인 되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쉽게 코딩이 가능한건 아니다. 기존의 동기화 기반의 멀티스레드 모델을 코딩 했거나 함수나 메서드 등의 리턴값을 이용해 로직을 작성하...
-
logging 을 사용해서 로그 찍는 루틴을 만들었는데, 로그를 찍을 때 마다 동일한 로그가 계속 하나씩 더 찍히는 현상을 경험했다. 로그1, 로그2, 로그2, 로그3, 로그3, 로그3, ... 이런 식이었다. 사실 현상이라기 보단 코딩을 잘못해서...
-
Swift 의 Range 기능은 1.0 이라는 초창기 버전 부터 존재했으며 Swift 버전이 올라감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이 붙거나 세분화 되었습니다. 그런데 제 블로그에서는 별도로 정리를 한 글이 없어서 이 범위(Range)에 대한 것을 정리해 봅니...
Tags
Blog Archive
-
▼
2011
(273)
-
▼
6월
(13)
- [iOS] NSAssert를 이용한 Objective-C 디버깅
- [node.js] 루프와 process.nextTick()
- [Emacs] flymake-cursor.el
- [node.js] 비동기 코딩스타일 이라는 암초
- [Emacs] Terminal.app 에서 Shift-Tab 사용하기
- [node.js] 기본적인 모듈 코딩 방법
- [node.js] 기본적인 웹 서버 템플릿
- [Emacs] Terminal.app 에서 Meta키 이용하기
- [Emacs] 터미널 Emacs에서 Mac OS X 클립보드 이용하기
- [Vim] MacVim은 터미널에서도 돌아간다.
- HomeBrew로 Vim 설치하기
- [Emacs] CSS 편집 시 색상보기
- [Emacs] html-mode 단축키 이야기
-
▼
6월
(13)
0 comments:
댓글 쓰기